![]() |
공지사항 | ![]() |
˝차붐카붐˝ 모바일 ..
2016.06.27
˝중고차구입문의˝ 매..
2015.05.14
강성범의 핫이슈 매거진에..
2015.05.13
조영구의 트렌드핫이슈에 ..
2013.04.04
Economy CEO에 ..
2012.01.03
차량 구입하실때 참고해 ..
2011.11.17
저희 ˝차붐카붐˝ Q..
2011.11.01
2011년 8월28일 동..
2011.09.08
2011년 9월1일 ..
2011.09.08
2011년 7월19일 동..
2011.09.08
2011년 9월6일 동아..
2011.09.08
2011년 8월25일 중..
2011.09.08
중앙일보에 실린 차붐카붐..
2011.08.29
안녕하세요^^ ˝차붐카..
2011.07.18
"중고차 판매" 차량판매..
2011.05.09
네이버뉴스에 기사화된 저..
2010.12.03
![]() |
차량정보공유 | ![]() |
겨울타는 자동차 배터리,..
2020.01.07
운전중 갑자기 타이어 펑..
2019.07.18
봄철 졸음운전 이렇게 예..
2019.04.13
< 선루프 > 차알못을 ..
2019.03.01
2019년 달라진 도로교..
2019.02.08
블랙아이스, 알고 대처하..
2018.12.31
주행거리별 자동차 점검관..
2018.12.04
미세먼지로 부터 내차를 ..
2018.11.22
윈터타이어~다가오는 겨울..
2018.11.08
유류세 인하에 대해 알아..
2018.11.01
전기차가 대세? 전기차의..
2018.10.28
치솟는 기름값 아껴보자!!
2018.10.23
자동차 하부세차는 왜 해..
2018.10.21
아는만큼 절약할 수 있는..
2017.07.18
자동차 소모품 이정도는 ..
2017.05.19
에어컨필터와 에어필터 어..
2017.03.09
출고된지 얼마 안된 신차..
2016.12.21
내 차에는 어떤 에어백이..
2016.09.11
자동차 머플러만 봐도 알..
2016.08.10
1년에 2번 납부!! 아..
2016.07.26
사고차의 구별!! 알기쉽..
2016.07.04
중고차 거래시 꼭 확인하..
2016.06.27
[ 겨울철 안전운전 요령 ]
2015.10.14
[ 안전운전 요령 ]
2015.10.12
[ 중고차 구입 후 관리..
2015.10.03
[ 여름휴가 후의 자동차..
2015.09.03
[타이어 안전점검 포인트]
2015.05.27
브레이크 계통 점검/교환>
2015.04.28
[RV와 SUV의 올바른..
2015.04.24
[봄맞이 필수 차량관리]
2015.04.24
[ 경제적인 운전방법 ]
2014.08.15
[ 안전한 야간운전을 하..
2014.08.15
[ 겨울철 자동차관리 ]
2013.11.05
[ 연비 측정 방법 ]
2013.10.05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2013.10.05
[ 가을철 자동차 관리 ]
2013.09.13
침수차 감별법
2013.09.13
[ 장마철 안전운전 가이..
2013.07.04
에어컨 점검을 통해 여름..
2013.06.19
다가오는 여름철 차량 관리법
2013.06.03
여름철 자동차 실내온도 ..
2013.06.03
연료를 아끼는 방법?
2013.06.03
올바른 타이어 점검 방법
2013.02.23
다가오는 봄철 자동차 관..
2013.02.18
겨울철 중고차 구입시 확..
2012.12.13
겨울철 차량 관리^^
2012.11.16
자동차 부위별 명칭
2012.10.05
침수 중고차 감별법
2012.10.05
자동차 실내 청소법???
2012.10.02
자동차 소모품 교환주기^^
2012.08.11
여름철 차량관리방법
2012.06.18
다가오는 봄철 차량관리법
2012.02.20
경제적인 운전요령
2012.01.27
차가 고장났을때 주의사항
2012.01.27
겨울철 차량관리 방법^^
2011.12.21
자동차 주기 점검입니다^^
2011.12.21
자동차부품정보 - 자동..
2011.09.12
자동차폐차절차 및 자동차..
2011.09.12
여성운전자 초보운전자를 ..
2011.09.12
자동차 상식 소중한 안아..
2011.09.12
갑자기 차 시동이 안걸려..
2011.09.04
자동차 연비를 최대한 ..
2011.09.04
실내등DIY!~ 누구나..
2011.09.04
기본적인 저동차 정검방법..
2011.08.31
타이어 공기압]적정 타이..
2011.08.31
교통사고시 사고처리방법..
2011.08.31
내차에 맞는 엔진오일이 ..
2011.08.31
자동차 노킹에 데해서....
2011.08.30
자동차 상식, 이것만은 ..
2011.08.30
다가오는 추석여행 내차 ..
2011.08.30
튜닝질문이여????
2011.08.30
에어컨 절약상식으로 불필..
2011.08.30
자동차상식!!
2011.08.30
잘못된 자동차상식10가지..
2011.08.29
투싼IX자동주차보조 시스..
2011.08.29
알아두면 좋은 자동차 상..
2011.08.18
[자동차 침수피해 대처방..
2011.08.18
차선이탈 경고시스템 (L..
2011.02.12
차량 밑부분에 낀 염화칼..
2011.02.12
치솟는 기름값에 당당하게..
2011.02.12
본네트사고유무확인법
2011.02.08
일반휘발유와 고급휘발유의..
2010.11.29
운행 중 차량이 한쪽으로..
2010.11.26
내 차는 어떤 써스펜션이..
2010.11.26
방치한 히터틀면 퀴퀴한 ..
2010.11.26
자동차 타이어 펑크! 원..
2010.11.26
배기 가스색으로 보는 내..
2010.11.26
신호대기시 자동변속기 D..
2010.11.17
뺑소니로 몰리기 쉬운 1..
2010.11.17
엔진 배기량이 크면 기름..
2010.11.17
추운 겨울! 히터관리는 ..
2010.11.17
자동차의 출력과 토크! ..
2010.11.17
디젤차와 휘발유차 어느 ..
2010.11.16
자동차 겨울나기, 지금부..
2010.11.16
브레이크를 밟으면 기름이..
2010.11.16
무슨차의 칼치기영상일까요..
2010.11.16
주차위반 스티커 자국없이..
2010.11.16
포르쉐에 도전장 낸 미니..
2010.11.16
자동차 주유구위치는 왜 ..
2010.11.13
핸들떨림으로 내차 문제점..
2010.11.13
알아두면 편리한 세차에 ..
2010.11.13
기어비를 알면 차의 성능..
2010.11.13
ABS가 있는 차와 없는..
2010.11.13
자동차 출고후 썬루프를 ..
2010.11.13
알루미늄 휠(Wheel)..
2010.11.13
전륜구동과 후륜구동! 어..
2010.11.13
카쎈타에서 오고가는 현장..
2010.11.13
비보호 좌회전 교차로에서..
2010.11.13
장거리 운행시 살펴야할사항들
2010.11.12
똑똑해지는 자동차!첨단사..
2010.11.12
자동차 사고시에 알아두어..
2010.11.12
람보르기니-무르시엘라고 ..
2010.11.12
자동차 핸들위치가 나라마..
2010.11.12
SUV , SAV ,RV..
2010.11.12
연료통에 물이들어가면 어..
2010.11.12
2000cc가아니네??!..
2010.11.12
다가올 겨울철 안전운전1..
2010.11.12
2011올해의 차후보는?
2010.11.12
연료통 경고등이 켜진뒤얼..
2010.11.12
소모품 교환이 적은차가있..
2010.11.12
연비 향상 운전법
2010.11.12
적절한 소모품 교환시기
2010.11.12
아우디의 역사 AUDI
2010.11.11
잘못 알고있는 자동차 상식
2010.11.11
벤츠의역사
2010.11.11
울에는 어느 계절보다도 안전운행에 주의해야 한다. 점검 및 정비를 철저히 했다고 해도 안전운전을 하지 않아 사고가 나면 모든 것이 허사이기 때문이다. 제대로 알지 못하면 베테랑도 고생하기 쉬운 것이 겨울운전. 그렇다고 피하는 것이 최선은 아니다. 겨울철 운전요령을 바르게 알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운전한다면 초보운전자도 겨울이 두렵지 않을 것이다.
겨울운전이 까다로운 이유는 차가운 날씨 때문에 눈이나 비가 얼어버리기 때문이다. 시야를 막고 도로가 미끄러워지기 때문에 눈이 내리는 것도 고충인데 게다가 내린 눈이 녹아 없어지지 않고 얼어 버리면 곳곳에 박힌 지뢰와도 같이 위험한 환경을 만들게 된다.
달리고 있는데 눈이 오기 시작하면 먼저 워셔액으로 앞유리창을 깨끗이 닦은 후 와이퍼를 작동시키고, 열선 스위치를 넣어 뒤쪽 시야를 확보한다. 눈길, 빙판길에서는 앞, 뒤, 옆면의 교통상황을 잘 파악하고,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차선을 바꾸지 않는 것이 좋다. 갑자기 끼어드는 차가 있으면 피하려고 급브레이크를 밟거나 급핸들조작을 하게 된다. 노면상태가 좋은 도로라면 주변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으나 빙판길에서는 급브레이크나 급핸들조작이 또다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끼어들려는 차가 있다면 달리던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조금 줄여주는 것이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겨울에는 마른 도로에서의 운전습관대로 운전하면 대단히 위험하다. 접지력이 높은 마른 길에서는 자동차의 엔진에서 나오는 출력이 타이어를 통해 그대로 노면에 전달되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미끄러운 길은 노면과의 접지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출발할 때 강한 구동력이 있는 1단 기어를 쓰거나 액셀 페달을 세게 밟으면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2단 기어나 반클러치를 써야 한다.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을 쓰는 차는 셀렉트 레버를 D에 놓았을 때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아도 차가 천천히 앞으로 나가는 크리핑(creeping) 현상을 이용하면 자연스런 출발을 할 수 있다.
눈이나 빙판이 있는 커브길에서는 운전 테크닉보다 차의 속도를 충분히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코너링 때는 강한 원심력이 작용해 차체가 바깥쪽으로 쏠리게 된다. 이때 원심력은 속도에 비례해 속도가 빠를수록 그 힘이 더 크게 작용한다. 원심력은 타이어의 접지력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눈길이나 빙판길 등 미끄러운 곳에서는 아무리 좋은 타이어를 끼워도 완벽한 접지력을 기대할 수 없다. 진입부가 말라 있다 하더라도 중간에 예측할 수 없는 빙판이 기다릴 수 있으므로 커브를 돌 때는 중간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충분히 속도를 낮추어야 한다.
속도를 줄일 때는 기어를 낮춰 엔진 브레이크로 먼저 속도를 줄인 다음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 나누어 밟는 펌핑 브레이크(pumping break)를 쓴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으면 차는 미끄러지면서 돌아버리는 브레이크 록(brake lock) 상태가 되기 쉽다. 브레이크 록이 되면 중심을 잃고 미끄러지는 차를 스티어링 휠로 컨트롤할 수 없다. 만일 코너링하는 도중이었다면 차의 앞쪽이 코너의 바깥쪽으로 돌게 되므로 더욱 위험하다.
펌핑 브레이크를 쓸 때는 차간거리를 평소보다 두 배 이상 두어야 하고 뒤차와의 거리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앞차를 보고 적절하게 브레이크를 밟아 안전하게 섰어도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뒤차가 추돌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미끄러운 길을 달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여유 있는 운전자세다. 브레이크, 핸들, 액셀 등을 급하게 조작하면 타이어가 스핀을 일으키기 쉽다. 차는 일정한 속도로 달리 때 가장 안정된 자세를 갖지만 급핸들조작은 차의 자세를 흐트러뜨린다. 노면상태가 좋은 도로를 달릴 때도 "급"자 붙은 운전을 하면 사고 나기 쉬운데 도로상태가 좋지 않은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두말 할 것도 없다.
햇볕이 들지 않는 응달이나 산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곳, 고가도로나 다리 위 등은 얼어 있을 때가 많으므로 항상 속도를 줄여 천천히 통과한다. 특히 다리를 지날 때는 미리 속도를 줄이고 중간에 차선을 바꾸지 않는 것이 좋다. 시간적으로 보면 추워진 날의 저녁부터 다음날 아침까지가 가장 조심해야 할 때다.
터널을 통과할 때는 터널 입구와 속, 출구 등의 노면상태가 다르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터널에 들어갈 때는 마른 땅이었다 해도 터널 끝의 노면은 미끄러운 빙판인 경우가 많으므로 출구에서 속력을 붙인 채 빠져나오면 위험하다. 터널 안에서부터 천천히 달려야 한다.
겨울에는 언덕길을 오르기가 힘들다. 제설용으로 염화칼슘이나 모래를 뿌려 놓지만 부분적으로 얼어 있는 곳이 있기 때문이다. 얼음이 녹지 않은 오르막길을 오를 때는 액셀을 부드럽게 밟아 주어야 한다. 액셀을 너무 세게 밟으면 접지력이 약해져 바퀴가 미끄러질 위험이 있다. 오르막길보다 더 위험한 내리막길에서는 풋 브레이크에만 의존하지 말고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면서 내려가야 안전하다.
차가 많이 다니는 도심의 도로는 눈이 내려도 금방 녹아 없어진다. 그러나 한가한 지방도로나 골목길 등은 한 번 얼면 쉽게 녹지 않는다. 익숙하지 않은 지방도로를 달릴 때는 눈이 얼고 녹은 정도가 다르고 알지 못하는 함정이 눈에 덮여 있을 수도 있으므로 거리를 두고 앞차를 천천히 뒤따라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퇴근 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집으로 돌아오다가 눈이 채 녹지 않은 집앞 골목에서 사고가 날 수도 있으므로 집 안으로 들어서는 순간까지 긴장을 풀지 않아야 한다.
부분적으로 얼거나 녹은 길을 달릴 때는 차를 세우고 노면을 살펴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얼어붙은 노면은 눈길처럼 확연히 드러나지 않고 희게 보이는 곳, 약간 젖은 듯 보이는 곳, 눈에 덮여 있으나 밑은 빙판인 곳 등 여러 형태가 있다. 부분적으로 얼어 있는 경우는 더욱 판단하기가 어렵다. 여기에 비까지 내리면 노면상태를 분간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겨울에는 주차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차를 세울 때는 될 수 있으면 실내주차장을 이용하고, 노상주차장에 주차할 경우에는 차 앞머리가 햇볕이 잘 비추는 곳을 향하도록 놓는 것이 좋다. 추운 곳에 차를 오래 세워 놓으면 배터리의 성능이 약해져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 수가 있고, 성에가 끼거나 눈이 얼어붙는 일이 종종 생기기 때문이다.
보디커버를 씌우면 차에 붙은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고 차의 보온효과도 좋아진다. 커버가 없으면 신문지나 담요 등으로 앞유리만이라도 덮어둔다. 앞유리를 신문지로 덮어둘 때는 워셔액이나 비눗물을 유리창에 바른 다음 신문지를 덮어야 들어붙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