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지사항 | ![]() |
˝차붐카붐˝ 모바일 ..
2016.06.27
˝중고차구입문의˝ 매..
2015.05.14
강성범의 핫이슈 매거진에..
2015.05.13
조영구의 트렌드핫이슈에 ..
2013.04.04
Economy CEO에 ..
2012.01.03
차량 구입하실때 참고해 ..
2011.11.17
저희 ˝차붐카붐˝ Q..
2011.11.01
2011년 8월28일 동..
2011.09.08
2011년 9월1일 ..
2011.09.08
2011년 7월19일 동..
2011.09.08
2011년 9월6일 동아..
2011.09.08
2011년 8월25일 중..
2011.09.08
중앙일보에 실린 차붐카붐..
2011.08.29
안녕하세요^^ ˝차붐카..
2011.07.18
"중고차 판매" 차량판매..
2011.05.09
네이버뉴스에 기사화된 저..
2010.12.03
![]() |
차량정보공유 | ![]() |
겨울타는 자동차 배터리,..
2020.01.07
운전중 갑자기 타이어 펑..
2019.07.18
봄철 졸음운전 이렇게 예..
2019.04.13
< 선루프 > 차알못을 ..
2019.03.01
2019년 달라진 도로교..
2019.02.08
블랙아이스, 알고 대처하..
2018.12.31
주행거리별 자동차 점검관..
2018.12.04
미세먼지로 부터 내차를 ..
2018.11.22
윈터타이어~다가오는 겨울..
2018.11.08
유류세 인하에 대해 알아..
2018.11.01
전기차가 대세? 전기차의..
2018.10.28
치솟는 기름값 아껴보자!!
2018.10.23
자동차 하부세차는 왜 해..
2018.10.21
아는만큼 절약할 수 있는..
2017.07.18
자동차 소모품 이정도는 ..
2017.05.19
에어컨필터와 에어필터 어..
2017.03.09
출고된지 얼마 안된 신차..
2016.12.21
내 차에는 어떤 에어백이..
2016.09.11
자동차 머플러만 봐도 알..
2016.08.10
1년에 2번 납부!! 아..
2016.07.26
사고차의 구별!! 알기쉽..
2016.07.04
중고차 거래시 꼭 확인하..
2016.06.27
[ 겨울철 안전운전 요령 ]
2015.10.14
[ 안전운전 요령 ]
2015.10.12
[ 중고차 구입 후 관리..
2015.10.03
[ 여름휴가 후의 자동차..
2015.09.03
[타이어 안전점검 포인트]
2015.05.27
브레이크 계통 점검/교환>
2015.04.28
[RV와 SUV의 올바른..
2015.04.24
[봄맞이 필수 차량관리]
2015.04.24
[ 경제적인 운전방법 ]
2014.08.15
[ 안전한 야간운전을 하..
2014.08.15
[ 겨울철 자동차관리 ]
2013.11.05
[ 연비 측정 방법 ]
2013.10.05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2013.10.05
[ 가을철 자동차 관리 ]
2013.09.13
침수차 감별법
2013.09.13
[ 장마철 안전운전 가이..
2013.07.04
에어컨 점검을 통해 여름..
2013.06.19
다가오는 여름철 차량 관리법
2013.06.03
여름철 자동차 실내온도 ..
2013.06.03
연료를 아끼는 방법?
2013.06.03
올바른 타이어 점검 방법
2013.02.23
다가오는 봄철 자동차 관..
2013.02.18
겨울철 중고차 구입시 확..
2012.12.13
겨울철 차량 관리^^
2012.11.16
자동차 부위별 명칭
2012.10.05
침수 중고차 감별법
2012.10.05
자동차 실내 청소법???
2012.10.02
자동차 소모품 교환주기^^
2012.08.11
여름철 차량관리방법
2012.06.18
다가오는 봄철 차량관리법
2012.02.20
경제적인 운전요령
2012.01.27
차가 고장났을때 주의사항
2012.01.27
겨울철 차량관리 방법^^
2011.12.21
자동차 주기 점검입니다^^
2011.12.21
자동차부품정보 - 자동..
2011.09.12
자동차폐차절차 및 자동차..
2011.09.12
여성운전자 초보운전자를 ..
2011.09.12
자동차 상식 소중한 안아..
2011.09.12
갑자기 차 시동이 안걸려..
2011.09.04
자동차 연비를 최대한 ..
2011.09.04
실내등DIY!~ 누구나..
2011.09.04
기본적인 저동차 정검방법..
2011.08.31
타이어 공기압]적정 타이..
2011.08.31
교통사고시 사고처리방법..
2011.08.31
내차에 맞는 엔진오일이 ..
2011.08.31
자동차 노킹에 데해서....
2011.08.30
자동차 상식, 이것만은 ..
2011.08.30
다가오는 추석여행 내차 ..
2011.08.30
튜닝질문이여????
2011.08.30
에어컨 절약상식으로 불필..
2011.08.30
자동차상식!!
2011.08.30
잘못된 자동차상식10가지..
2011.08.29
투싼IX자동주차보조 시스..
2011.08.29
알아두면 좋은 자동차 상..
2011.08.18
[자동차 침수피해 대처방..
2011.08.18
차선이탈 경고시스템 (L..
2011.02.12
차량 밑부분에 낀 염화칼..
2011.02.12
치솟는 기름값에 당당하게..
2011.02.12
본네트사고유무확인법
2011.02.08
일반휘발유와 고급휘발유의..
2010.11.29
운행 중 차량이 한쪽으로..
2010.11.26
내 차는 어떤 써스펜션이..
2010.11.26
방치한 히터틀면 퀴퀴한 ..
2010.11.26
자동차 타이어 펑크! 원..
2010.11.26
배기 가스색으로 보는 내..
2010.11.26
신호대기시 자동변속기 D..
2010.11.17
뺑소니로 몰리기 쉬운 1..
2010.11.17
엔진 배기량이 크면 기름..
2010.11.17
추운 겨울! 히터관리는 ..
2010.11.17
자동차의 출력과 토크! ..
2010.11.17
디젤차와 휘발유차 어느 ..
2010.11.16
자동차 겨울나기, 지금부..
2010.11.16
브레이크를 밟으면 기름이..
2010.11.16
무슨차의 칼치기영상일까요..
2010.11.16
주차위반 스티커 자국없이..
2010.11.16
포르쉐에 도전장 낸 미니..
2010.11.16
자동차 주유구위치는 왜 ..
2010.11.13
핸들떨림으로 내차 문제점..
2010.11.13
알아두면 편리한 세차에 ..
2010.11.13
기어비를 알면 차의 성능..
2010.11.13
ABS가 있는 차와 없는..
2010.11.13
자동차 출고후 썬루프를 ..
2010.11.13
알루미늄 휠(Wheel)..
2010.11.13
전륜구동과 후륜구동! 어..
2010.11.13
카쎈타에서 오고가는 현장..
2010.11.13
비보호 좌회전 교차로에서..
2010.11.13
장거리 운행시 살펴야할사항들
2010.11.12
똑똑해지는 자동차!첨단사..
2010.11.12
자동차 사고시에 알아두어..
2010.11.12
람보르기니-무르시엘라고 ..
2010.11.12
자동차 핸들위치가 나라마..
2010.11.12
SUV , SAV ,RV..
2010.11.12
연료통에 물이들어가면 어..
2010.11.12
2000cc가아니네??!..
2010.11.12
다가올 겨울철 안전운전1..
2010.11.12
2011올해의 차후보는?
2010.11.12
연료통 경고등이 켜진뒤얼..
2010.11.12
소모품 교환이 적은차가있..
2010.11.12
연비 향상 운전법
2010.11.12
적절한 소모품 교환시기
2010.11.12
아우디의 역사 AUDI
2010.11.11
잘못 알고있는 자동차 상식
2010.11.11
벤츠의역사
2010.11.11
무더위가 살짝 지나가고 시원한 장마비가 오고있네요~
장마가 끝나고 나면 더 많이 더워지겠죠?ㅜ..
후후~~~
오늘은 알아두면 좋을법한 자동차 상식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리가 잘 못 알고 있는 자동차상식과 알아두면 좋은 자동차상식등
초보자 분들이나 기존에 운행을 많이 하시던 분들도
모두에게 도움이 되실법한 자동차에 관한 정보와 상식 몇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아는 것이 힘이란 말이 있지만 잘못된 지식이라면
더 큰 피해가 생길 수 있어요~
자동차 상식에 대해 많은 도움이 되셧으면 합니다.
[자동차보험]

★자동차의 비싼 보험료는!?~
운전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보험료가 비싸다는건 다 알고 계실겁니다..
그렇다면 방법은!~?
자동차보험 전문가와 상담 후 연령대에 맞춰 보험에 가입하면 저렴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회사에서는 21세, 24, 26, 30, 35, 48세 등 다양한 연령한정으로 보험료에
차이가 있답니다. 연령한정으로 가입해서 보험료를 줄일 수 있어요~
[운전자 범위를 실제 운전자로 줄이자!]

★1인 한정 운전, 부부만 운전, 가족만 운전, 누구나 운전 등으로 다양하게 운전자 범위를 정하세요.
이렇게 되면 그만큼 위험이 노출이 줄고 사고가 날 확률이 줄어들기 때문에 보험료가 낮아집니다.
운전자 범위는 실제 운전을 하는 사람만으로 최대한 줄여놓으시면 더 저렴하답니다.
나중에 가족 중 다른 사람이 운전을 할 일이 생긴다면 일정기간동안 범위안에서 추가 할 수 있습니다.
하루도 가능하구요^^.멸절 등 다른 가족이 운전하실 때에도 보험사에 연락만 하시면
일정 금액을 내고 운전할 수 있는 기간을 드린다고 하네요ㅎㅎ
[자동차 교통법규]

★교통법규와 보험료는 관계가 없을까?~
아니죠~ 교통법규와 보험료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무면허 운전과 뺑소니는 1회 적발시 20% 할증, 음주 운전은 1회 적발시 10% 및 2회적발시 20%할증
중앙선 침범/속도위반/신호위반은 2~3회 위반시 5%및 4회 위반시는 10%가 할증됩니다.
즉 무사고 운전자라도 교통법규 위반으로 보험료가 상당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조심하세요!!ㅎ
[자동차사고]

★뒤에서 충돌사고가 나면 100% 과실이다??
아닙니다. 앞차 과실도 있을 수 있습니다.
동일한 차로에서 앞차 후미와 충돌했어도 앞차의 브레이크 등이 고장나 있었거나
이유없는 급정거를 했다면 앞차에 과실 책임이 발생합니다.
문제는 그 사실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럴 때에는 블랙 박스 등을 장착한 차가 유리하다고 합니다.
[엔진오일 교환주기와 잘못된 상식]

★엔진오일 교환 주기의 준수
엔진오일은 자주 바꿔주면 좋지만 계절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고
항상 규정량과 점도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자주 교환해준다고 해서 엔진성능이 향상되지는 않습니다.
승용차의 경우는 5,000km 정도 주행시마다 교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필터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많이 끼면 공기저항이 커져 연료소비도 증가한다고 합니다.
에어필터도 정기적으로 오일을 교환할때 같이 교환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브레이크오일]

★브레이크 오일량이 줄면 무조건 보충해야 한다??
브레이크 오일은 사실상 보충이 필요 없습니다.(엔진오일처럼 소모성이 아니에요)
그러나 브레이크를 오래 사용하면 브레이크 오일 탱크F선 이하로 내려가게 됩니다.
브레이크 계통에서 새는곳이 없다면, 정상이구요 좀 많이 내려갔다면 브레이크 라이닝이
많이 달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라이닝을 새것으로 교환하면 오일량은 제자리로
돌아오게 됩니다. 교환을 하셔도 오일량이 그대로이시면 보충해주셔야 하구요ㅎ
[엔진 워밍업]

★엔진의 워밍업은 오래 할수록 좋을까??
시동을 걸어서 엔진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워밍업이라고 합니다.
엔진의 수명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죠.. 열이 받지 않은 상태에서
운행을 시작하면 엔진의 마모가 많습니다. 워밍업 시간은 계절에 따라서 달라지는대요
더운 여름철에는 워밍업 시간이 짧아도 되고 겨울철은 5분이내이면 충분합니다.
한가지 추가하자면 디젤 엔진은 가솔린에 비해 워밍업 시간을 더 갖는 것이 좋습니다.
[새차 & 자동차 길들이는 방법]

★새 자동차 구매 후 길들이는 방법
보통 새 차를 구매하신 분들이 고속주행으로 엔진을 길들여야 좋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에요.
하지만 새 차에는 실린더와 트랜스미션에 아주 미세한 입자들이 남아있어
2,000km 까지는 엔진을 길들인다는 이유로 고속주행 하는 것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출고한지 얼마 안 된 새 자동차를 고속으로 주행하는 것은
새차를 낡은 차로 만드는 지름길이니까요.
[자동차 광택]

★새 차에 광택기를 사용해 코팅광택을 해야 한다??
정답은 NO!!
출고한 후 3개월 정도까지는 눈으로 보이지 않지만, 안쪽 도색이 덜 마른
상태이기 때문에 왁스칠을 하거나 광택을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특히 광택은 사람의 피부를 벗기는 것과 같아서 오히려 차의 상태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또 3개월 후에도 왁스로 광택을 유지하는 것이 코팅하는 것보다 더 좋습니다.
[자동차 안전운행]

★내리막길을 내려 갈 때 기어를 중립에 놓거나 시동을 끄고
주행해도 안전에 문제는 없다??
이 방법은 정말 위험한 운전 중 하나 입니다.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중립 또는 시동을 끄고 운전하면 약간의 연료는 절약되겠지만
핸들조작이나 브레이크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대형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주차시 주차브레이크]
★주차시엔 항상 주차브레이크를 해야 한다??
수동변속기 차량에는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자동변속기 차량은 기어가 풀릴 염려가 없고
특히 겨울철에는 주차브레이크가 얼어 붙을 수 있으므로, 비탈길 주차가 아니면
주차브레이크는 살짝만 해 놓거나 반드시 쓰실 필요는 없습니다.
몇가지 자동차 상식에 관해 적어보았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셧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