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지사항 | ![]() |
˝차붐카붐˝ 모바일 ..
2016.06.27
˝중고차구입문의˝ 매..
2015.05.14
강성범의 핫이슈 매거진에..
2015.05.13
조영구의 트렌드핫이슈에 ..
2013.04.04
Economy CEO에 ..
2012.01.03
차량 구입하실때 참고해 ..
2011.11.17
저희 ˝차붐카붐˝ Q..
2011.11.01
2011년 8월28일 동..
2011.09.08
2011년 9월1일 ..
2011.09.08
2011년 7월19일 동..
2011.09.08
2011년 9월6일 동아..
2011.09.08
2011년 8월25일 중..
2011.09.08
중앙일보에 실린 차붐카붐..
2011.08.29
안녕하세요^^ ˝차붐카..
2011.07.18
"중고차 판매" 차량판매..
2011.05.09
네이버뉴스에 기사화된 저..
2010.12.03
![]() |
차량정보공유 | ![]() |
겨울타는 자동차 배터리,..
2020.01.07
운전중 갑자기 타이어 펑..
2019.07.18
봄철 졸음운전 이렇게 예..
2019.04.13
< 선루프 > 차알못을 ..
2019.03.01
2019년 달라진 도로교..
2019.02.08
블랙아이스, 알고 대처하..
2018.12.31
주행거리별 자동차 점검관..
2018.12.04
미세먼지로 부터 내차를 ..
2018.11.22
윈터타이어~다가오는 겨울..
2018.11.08
유류세 인하에 대해 알아..
2018.11.01
전기차가 대세? 전기차의..
2018.10.28
치솟는 기름값 아껴보자!!
2018.10.23
자동차 하부세차는 왜 해..
2018.10.21
아는만큼 절약할 수 있는..
2017.07.18
자동차 소모품 이정도는 ..
2017.05.19
에어컨필터와 에어필터 어..
2017.03.09
출고된지 얼마 안된 신차..
2016.12.21
내 차에는 어떤 에어백이..
2016.09.11
자동차 머플러만 봐도 알..
2016.08.10
1년에 2번 납부!! 아..
2016.07.26
사고차의 구별!! 알기쉽..
2016.07.04
중고차 거래시 꼭 확인하..
2016.06.27
[ 겨울철 안전운전 요령 ]
2015.10.14
[ 안전운전 요령 ]
2015.10.12
[ 중고차 구입 후 관리..
2015.10.03
[ 여름휴가 후의 자동차..
2015.09.03
[타이어 안전점검 포인트]
2015.05.27
브레이크 계통 점검/교환>
2015.04.28
[RV와 SUV의 올바른..
2015.04.24
[봄맞이 필수 차량관리]
2015.04.24
[ 경제적인 운전방법 ]
2014.08.15
[ 안전한 야간운전을 하..
2014.08.15
[ 겨울철 자동차관리 ]
2013.11.05
[ 연비 측정 방법 ]
2013.10.05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2013.10.05
[ 가을철 자동차 관리 ]
2013.09.13
침수차 감별법
2013.09.13
[ 장마철 안전운전 가이..
2013.07.04
에어컨 점검을 통해 여름..
2013.06.19
다가오는 여름철 차량 관리법
2013.06.03
여름철 자동차 실내온도 ..
2013.06.03
연료를 아끼는 방법?
2013.06.03
올바른 타이어 점검 방법
2013.02.23
다가오는 봄철 자동차 관..
2013.02.18
겨울철 중고차 구입시 확..
2012.12.13
겨울철 차량 관리^^
2012.11.16
자동차 부위별 명칭
2012.10.05
침수 중고차 감별법
2012.10.05
자동차 실내 청소법???
2012.10.02
자동차 소모품 교환주기^^
2012.08.11
여름철 차량관리방법
2012.06.18
다가오는 봄철 차량관리법
2012.02.20
경제적인 운전요령
2012.01.27
차가 고장났을때 주의사항
2012.01.27
겨울철 차량관리 방법^^
2011.12.21
자동차 주기 점검입니다^^
2011.12.21
자동차부품정보 - 자동..
2011.09.12
자동차폐차절차 및 자동차..
2011.09.12
여성운전자 초보운전자를 ..
2011.09.12
자동차 상식 소중한 안아..
2011.09.12
갑자기 차 시동이 안걸려..
2011.09.04
자동차 연비를 최대한 ..
2011.09.04
실내등DIY!~ 누구나..
2011.09.04
기본적인 저동차 정검방법..
2011.08.31
타이어 공기압]적정 타이..
2011.08.31
교통사고시 사고처리방법..
2011.08.31
내차에 맞는 엔진오일이 ..
2011.08.31
자동차 노킹에 데해서....
2011.08.30
자동차 상식, 이것만은 ..
2011.08.30
다가오는 추석여행 내차 ..
2011.08.30
튜닝질문이여????
2011.08.30
에어컨 절약상식으로 불필..
2011.08.30
자동차상식!!
2011.08.30
잘못된 자동차상식10가지..
2011.08.29
투싼IX자동주차보조 시스..
2011.08.29
알아두면 좋은 자동차 상..
2011.08.18
[자동차 침수피해 대처방..
2011.08.18
차선이탈 경고시스템 (L..
2011.02.12
차량 밑부분에 낀 염화칼..
2011.02.12
치솟는 기름값에 당당하게..
2011.02.12
본네트사고유무확인법
2011.02.08
일반휘발유와 고급휘발유의..
2010.11.29
운행 중 차량이 한쪽으로..
2010.11.26
내 차는 어떤 써스펜션이..
2010.11.26
방치한 히터틀면 퀴퀴한 ..
2010.11.26
자동차 타이어 펑크! 원..
2010.11.26
배기 가스색으로 보는 내..
2010.11.26
신호대기시 자동변속기 D..
2010.11.17
뺑소니로 몰리기 쉬운 1..
2010.11.17
엔진 배기량이 크면 기름..
2010.11.17
추운 겨울! 히터관리는 ..
2010.11.17
자동차의 출력과 토크! ..
2010.11.17
디젤차와 휘발유차 어느 ..
2010.11.16
자동차 겨울나기, 지금부..
2010.11.16
브레이크를 밟으면 기름이..
2010.11.16
무슨차의 칼치기영상일까요..
2010.11.16
주차위반 스티커 자국없이..
2010.11.16
포르쉐에 도전장 낸 미니..
2010.11.16
자동차 주유구위치는 왜 ..
2010.11.13
핸들떨림으로 내차 문제점..
2010.11.13
알아두면 편리한 세차에 ..
2010.11.13
기어비를 알면 차의 성능..
2010.11.13
ABS가 있는 차와 없는..
2010.11.13
자동차 출고후 썬루프를 ..
2010.11.13
알루미늄 휠(Wheel)..
2010.11.13
전륜구동과 후륜구동! 어..
2010.11.13
카쎈타에서 오고가는 현장..
2010.11.13
비보호 좌회전 교차로에서..
2010.11.13
장거리 운행시 살펴야할사항들
2010.11.12
똑똑해지는 자동차!첨단사..
2010.11.12
자동차 사고시에 알아두어..
2010.11.12
람보르기니-무르시엘라고 ..
2010.11.12
자동차 핸들위치가 나라마..
2010.11.12
SUV , SAV ,RV..
2010.11.12
연료통에 물이들어가면 어..
2010.11.12
2000cc가아니네??!..
2010.11.12
다가올 겨울철 안전운전1..
2010.11.12
2011올해의 차후보는?
2010.11.12
연료통 경고등이 켜진뒤얼..
2010.11.12
소모품 교환이 적은차가있..
2010.11.12
연비 향상 운전법
2010.11.12
적절한 소모품 교환시기
2010.11.12
아우디의 역사 AUDI
2010.11.11
잘못 알고있는 자동차 상식
2010.11.11
벤츠의역사
2010.11.11
자동차를 타고 다니면서 사고를 한번도 안당해 본 사람들도 있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크고 작은 사고는 한
번쯤은 나게 된다. 본인의 부주위 때문에 혹은 타인의 부주위 때문에 생기는 자동차 사고는 크게 사망까지
이를 수 있으며, 자동차 사고는 교통의 흐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제 2의 사고를 만들 수도 있다. 처음
사고를 당하는 사람들 그리고 사고를 당했다고 해도 우왕자왕 하는 사람들이 알아두면 좋을 자동차 사고
상식에는 어떤 경우가 있을까?
※ 자동차 끼리 간단한 접촉 사고의 경우
자동차로 가득 메운 도시의 도로에서 흔히 발생하는 간단한 접촉사고는 사고 당사자들 끼리 신속하게 처
리하고 현장을 떠나는 것이 다수의 운전자들에 대한 교통 예절이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차를 사고현장에
서 빼라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 최종 정지 위치 등을 재빠르게 표시해 놓고 나머지 사항은 사고차를 주 교
통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옮긴 후 살펴보면 된다. 보험사에 알려 처리할 사항인지 여부를 먼저 파악해
본 후, 판단하여 간단한 사고 정황을 기록하고 서로의 신상 확인과 연락처를 교환한 후 사고 현장을 떠나
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하지만 자동차 사고는 운전자가 자신의 일방과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가 있을 때에는 보험사에 알려 보험사의 판단을 따르는 것이 이득인 경우가 많다.
※ 자동차 충돌로 탑승자가 크게 다친 경우
빠른 속력으로 자동차 끼리 충돌시 탑승자가 놀라 기절하거나 많이 다쳐 의식을 잃는 경우가 많다. 운전자
가 큰 부상 없이 의식이 뚜렷하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아 사고 운전자들은 의식이 뚜렷
하다고 해도 사고 직후는 당황하게 마련이다. 이럴 경우에는 바로 경찰과 119에 신고를 하고 주변에 목격
자의 연락처를 받아 두는 것이 좋다. 또 최소한 사진만이라도 다각도에서 촬영해 보관하는 것이 만일을 위
해 좋다.
※ 도로를 횡단하는 사람을 치었을 경우
횡단보도 근처 또는 도심을 벗어난 도로에서 종종 발생하는 사고가 보행자 사고이다. 이런 종류의 사고는
대부분 자동차는 크게 부숴지지 않아도 보행자는 중상 이상 다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사고 지역 특성상
도심지역의 경우 횡단보도내의 사고인가 아닌가가 다툼일 경우가 많고, 사고 당시 불행하게도 사고 목격
자가 없으면 경우에 따라 자동차 운전자에게 모든면에서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고가 발
생하면 우선 피해자 구호조치를 한 후 경찰에 즉시 신고하고 나서 경찰조사에 응할 때 꾸밈없이 사실 그대
로를 진술하는 것이 좋다.
※ 사망 사고의 경우
자동차로 인한 사망 사고는 대단히 좋지 않은 일이다. 사망 사고는 사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에 병원으로 후송 조치된 이후에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72시간 내에 자동차로 인해 사망하게 되면 사
망사고로 처리를 한다. 사망 사고도 다른 일반 사고와 마찬가지로 현장을 상황을 촬영하는 것이 좋다. 사
고 관련자중의 일부가 다치지 않고 의식이 뚜렷하다고 해도 참혹한 현장모습을 보고 매우 당황하게 되기
쉽기 때문에 주변의 사람에게 사고 신고, 대략적인 현장 스케치, 사진촬영 등을 부탁해서 도움을 받는 것
이 현명하다.